"소비쿠폰 13만원에 팔아요"…불법 되팔기, 적발 시 처벌 수위는?
정부가 지급하는 소비쿠폰은 경제 활성화와 민생 지원을 위한 중요한 수단입니다. 하지만 최근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 등에서 이러한 소비쿠폰을 현금화하려는 '불법 되팔기' 시도가 빈번하게 적발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과연 소비쿠폰을 불법으로 되팔거나 구매했을 때, 어떤 법적 처벌을 받게 될까요?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소비쿠폰 되팔기, 왜 문제일까요?

정부나 지자체에서 지급하는 소비쿠폰은 특정 목적(예: 소상공인 지원, 취약계층 지원, 지역 경제 활성화)을 가지고 사용처나 기간을 제한하여 발행됩니다. 이는 정해진 사용처에서 소비를 유도하여 실물 경제에 직접적인 활력을 불어넣으려는 취지입니다.
하지만 이를 개인 간 거래를 통해 현금화하려는 행위는 이러한 **정책의 취지를 훼손**하고, **음성적인 거래를 조장**하여 공정한 유통 질서를 해치게 됩니다. 또한, 사기 등 불법 행위에 악용될 소지도 있어 강력한 단속과 처벌이 필요합니다.
불법 되팔기 적발 시 처벌 수위는?
소비쿠폰을 불법으로 되팔거나 이를 이용해 사기를 저지른 경우, 현행법상 다양한 혐의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 • 사기죄 (형법 제347조): 소비쿠폰을 이용해 타인을 기망하여 재산상의 이득을 취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이득을 취하게 한 경우 사기죄가 성립됩니다. 이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 •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만약 소비쿠폰이 '보조금'의 성격을 가진다면, 보조금법 위반으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부정한 방법으로 보조금을 받거나 그 용도 외에 사용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 •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일부 모바일 쿠폰의 경우, 전자금융거래법상 불법 현금화 행위로 간주될 여지도 있습니다.
- • 형사 처벌 외의 불이익: 불법 거래로 인해 지급받은 쿠폰은 **환수**될 수 있으며, 향후 유사한 정부 지원 사업 대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습니다.
주의: 단순히 쿠폰을 구매했다 하더라도, 그 행위가 불법적인 현금화를 돕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공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불법 거래에 가담하지 마세요! 신고는 필수
혹시 온라인에서 소비쿠폰의 불법 되팔기나 현금화 유도 글을 발견하셨다면 절대 참여하지 마시고, 즉시 관련 기관에 신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 • 신고처: 경찰청 (112), 국민신문고, 해당 소비쿠폰 관리 기관(지자체, 카드사 등) 콜센터 또는 홈페이지.
- • 증거 확보: 신고 시 불법 거래 게시물 화면 캡처, 판매자 정보(닉네임, 연락처 등) 등 증거 자료를 확보해 두면 수사에 도움이 됩니다.
💡 기억하세요: 불법 행위는 절대 이득이 되지 않습니다. 선의의 피해자를 막고 공정한 사회를 위해 모두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정부 소비쿠폰은 어려운 시기 국민에게 힘이 되고자 마련된 소중한 자원입니다. 이를 악용하는 불법 행위는 결코 용납될 수 없습니다. 올바른 사용과 적극적인 신고를 통해 건전한 소비 문화가 정착되기를 바랍니다!
댓글